▲ 제1장. 부모도 소아청소년 자녀 응급의료 처치 법을 배워야 한다
Parents should learn emergency medical cares for their children
의료 응급 상황에 필요 한 전화 번호
소방서
전화번호
| 경찰서
전화번호
| 응급의료센터
전화번호
| 소아과 의사나 단골 의사
전화번호
|
그림 1-1. 소방서, 경찰서, 병원 응급 의료센터, 단골 소아청소년과 전화번호를 알아보기 쉬운 집안 한곳에 적어 놓는다.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 1996년 생후 1~4세 미 유아들에게 생긴 비고의적 외상의 진료 정보
- 응급 진료하는데 든 응급 진료비,
- 응급치료를 받은 후 추적 진료비,
- 그 후 일생동안 건강 관리비,
- 생계 유지비 등은 거의 14억불이었고,
- 그 외 의식주 건강 유지비 등이 1억불이었다.
- 현재와 미래에 취업하지 못해 생기는 추정 경제적 손실 총액은 66억불이다.
출처; Pediatrics April 2008 p.849.
|


사진 218. 경골 골절(◌내)
Copyright ⓒ 2011 John Sangwon Lee, M.D. FAAP
표 2. 미 소아 집중 치료실에 연속 입원 40명 소아 환아들의 병명
40 Consecutive Medical Admissions to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September- November 1987
입원 시 병명 |
입원 환아 수 |
병세가 안정/병세가 불안정 |
경련 |
7 |
7/0 |
크루프 |
6 |
6/0 |
세기관지 염 |
5 |
5/0 |
천식 |
4 |
4/0 |
뇌수막염 |
3 |
3/0 |
패혈증 |
2 |
2/0 |
당뇨병성 케톤산혈증 |
2 |
2/0 |
울혈성 심장 부전증 |
2 |
1/1 |
그 외 |
9 |
9/0 |
■ 출처 및 참조문헌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 미 워싱턴 의과대학 시애틀 소아병원 연구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소아청소년과 환아들의 50%가 적절한 진단 치료를 미 의료인으로부터 받았다고 부모들이 응답했다.”
국가나 사회가 부모들에게 소아 응급 처치법이나 치료법을 가르쳐 주지 않으면 부모들이 이런 종류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 각종 매개체와 응급의료에 관련된 참고서 등을 통해 소아청소년과학과 자녀양육, 응급처치법에 관해 공부해야 한다.
(출처; NEJM).
미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의 55%가 소아 청소년 환아의 부모들에게 인터넷을 통해 더 많은 의료 정보를 얻으라고 권장 하고 있다.(소스: AAP NEWS)
출처 및 참조문헌
Childhood Emergencies in the Office, Hospital and Community,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Children, By Ross Lab. May 1989. p.10 Emergency care, harvey grant and robert murray Emergency Care Transportation of Sick and Injure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Emergency Pediatrics A Guide to Ambulatory Care, Roger M. Barkin, Peter Rosen Immediate care of the acutely ill and injured, Hugh E. Stephenson, Jr The Critically Ill Child, Diagnosis and Management, Edited by Clement A. Sm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for Children: The Role of the Primary Care Provider, America Academy of Pediatrics Quick Reference To Pediatric Emergencies , Delmer J. Pascoe, M.D., Moses Grossman, M.D. with 26 contributors Manual of Emergency Care 응급환자관리 정담미디어 소아가정간호백과-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이상원 Neonatal Resuscita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Neonatology Jeffrey J.Pomerance, C. Joan Richardson Pediatric Resuscitation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Stephen M. Schexnayder, M.D. Pediatric Critical Car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James P. Orlowski, M.D. Preparation for Birth. Berverly Savage and Dianna Smith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14th ed. Beherman, The Johns Hopkins Hospital, The Harriet Lane Handbook, 18th edition Red book 29th edition 2012 Nelson Text Book of Pediatrics 19th Edition Infectious disease of children, Saul Krugman, Samuel L Katz, Ann A. Gerhon, Catherine Wilfert The Harriet Lane Handbook 19th Edition 소아과학 안효섭 외 대한교과서 제1권 소아청소년 응급의료 참조문헌과 출처 제2권 소아청소년 질병․안전사고 예방 참조문헌과 출처 Other
|